암호화폐(cryptocurrency)
암호화폐는 암호학(cryptography)과 화폐(currency)를 결합한 단어로, 디지털 화폐의 일종이다. 기존의 디지털 화폐와 가장 큰 차이는 암호화가 되어 있다는 점이다. 암호화폐 기술은 암호학과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바탕으로 하는데, 공개된 알고리즘으로 규정한 방식에 따라 발행한다. 따라서 특정한 발행 주체가 아니라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발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암호화폐는 해시 함수를 사용해 새로운 코인을 생성하고, 거래 내역을 검증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거래 내역을 검증하는 방식에 따라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지분증명(PoS: Proof of Shake) 등으로 나뉜다.
최초의 암호화폐는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개발되었고, 이후 이더리움, 리플, 이오스 등 수많은 코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제외한 나머지 코인들은 알트코인으로 묶어서 부르곤 한다.
한국에서는 암호화폐를 가상화폐나 가상통화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가상화폐는 현재 각종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현금성 사이버머니까지 포괄하므로 적절한 표현이라 보기는 어렵다.
암호화폐 거래소(cryptocurrency exchange)
암호화폐 거래소는 암호화폐와 법정통화(원화, 달러 등)등 서로 다른 유형의 화폐를 교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곳으로, 한국에는 빗썸, 코인원, 업비트 등이 있다(외국: 비트파이넥스, 비트렉스 등).
암호화폐는 화폐라 불리기는 하지만 미래 가치에 따라 움직이는 주식의 특성도 강하게 갖고 있다. 그래서인지 증권 거래소와 비슷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암호화폐 거래소는 사용자들이 암호화폐를 거래할 때마다 발생하는 수수료를 주 비즈니스 모델로 삼고 있다.
탈중앙화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
현재 암호화폐 거래소는 거래소를 이끄는 운영 주체가 있다. 이를테면 업비트는 카카오에서 지분을 투자한 두나무에서 운영하는 식이다. 기존의 거래소는 법정 통화(원화, 달러 등)와 암호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거래를 중개한다.
탈중앙화거래소는 거래하는 두 주체 사이를 중개하는 제 3자까지 탈중앙화된 교환(decentralized exchange)을 하려는 거래소이다. 중앙화된 거래소는 메인 서버를 중심으로 거래가 진행되지만 탈중앙화거래소는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 간 암호화폐를 직접 교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더리움, 비트코인, 이오스 등 코인을 만든 플랫폼사들이 각 코인을 직거래로 교환할 수 있도록 규칙, 규약을 만들어 합의하고 시스템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거론되는 기술로는 아토믹 스왑(Atomic Swap)이 있다.
알트코인(Altcoin) : 비트코인 이후에 나온 대안의 암호화폐를 일컫는다. 수많은 알트코인은 자신들이 비트코인의 단점들을 개선했다며 강점을 부각하고 있다. 하지만 몇몇 주요 코인을 제외하면 알트코인으로 묶이고, 때때로 Shitcoin(잡코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shitcoin은 아무 쓸모가 없는 코인으로, 주식으로 치면 '개잡주'다.
아토믹 스왑(Atomic Swap) : 중앙화된 거래소 없이도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기술로, 분리된 블록체인 상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두 개 코인 사이에서 직접적인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Atomic cross chain trading이라고도 한다.
'블록체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0) | 2018.05.21 |
---|---|
소프트 포크, 하드포크, 세그윗(Segwit) (0) | 2018.05.20 |
블록체인 노드(node), 풀노드, 라이트노드 (0) | 2018.05.19 |
비트코인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 (1) | 2018.05.18 |
블록체인 이란?(blockchain), 51% 공격 (0) | 2018.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