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노드(node)
노드는 같은 LAN을 쓰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블록체인에서는 검증인을 뜻한다. 검증인은 거래 데이터를 보관하고, 신규 거래를 승인·합의하는 역할을 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검증인이 되어 네트워크 유지 및 관리에 참여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노드로 이루어져 있다. 노드는 데이터 변화를 중개하고, 거래 내역을 분산 데이터베이스인 블록체인 내 각각의 컴퓨터에 저장한다. 전 세계 곳곳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몇몇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합의 내용이 달라진다 하더라도 나머지 다수에게 원래 데이터가 남아 있어 기존의 합의 내용을 유지할 수 있다.
풀노드(Full node)
풀노드는 블록체인에서 이뤄진 모든 거래 정보를 전부 저장하는 검증인을 뜻한다. 제네시스 블록부터 시작해서 모든 블록체인 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노드이다.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기 위해 블록검증을 수행하고 다른 노드로 전파하는 기능이 있다.
보통의 경우, 중앙 서버 1곳에 저장하여 내용을 확인한다. 하지만 블록체인에서는 주요 데이터를 여러 풀노드가 함께 보관하고 있다. 이에 해킹하려면 여러 곳을 한꺼번에 공격해야 하므로, 사실상 해킹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라이트노드(Light Node)
라이트노드는 블록체인에 참여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로, 풀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요청하고 확인하여 개별 거래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풀노드처럼 모든 블록 정보를 가지고 있지는 않고, 블록 헤더에 있는 중요한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다. 수백 기가바이트 이상의 대용량을 저장하기 어려운 경우에 라이트 노드 역할을 한다.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 : 처음으로 시작된 블록이다. 제네시스는 창세기를 뜻한다. 블록이 생성된 순서를 높이(height)로 표현하는데, 제네시스 블록의 높이는 0이다.
'블록체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0) | 2018.05.21 |
---|---|
소프트 포크, 하드포크, 세그윗(Segwit) (0) | 2018.05.20 |
비트코인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 (1) | 2018.05.18 |
암호화폐, 암호화폐 거래소, 탈중앙화 거래소(DEX) (0) | 2018.05.17 |
블록체인 이란?(blockchain), 51% 공격 (0) | 2018.05.16 |